밍느의건강

회복실에서 오심 구토 심한 환자 간호 팁

밍느님 2025. 4. 15. 22:23
반응형

– 토할 것 같은 그 순간, 간호사가 해야 할 5가지


📌 회복실에서 왜 이렇게 자주 구토를 할까?

수술 마치고 PACU로 올라오자마자,
환자가 이렇게 말해.

“어지러워요... 토할 것 같아요...”
“속이 너무 울렁거려요...”

그 이유는?

원인설명
마취제 영향 전신마취 약물(특히 Inhalation agent)
진통제(마약성) Morphine, Fentanyl 등은 오심 유발
복강경 수술 CO₂ 주입 → 복부 팽만
장운동 저하 수술 후 장기능 회복 느림
체위, 이동 자세 변화 시 어지럼 & 구토 유발

💡 특히 여성, 비흡연자, 멀미 잘하는 사람은 오심 잘 온다!


✅ 오심·구토 환자 간호 – 바로 이렇게 해줘!


1️⃣ 체위 조정 – ‘토하게 두면 안 돼요’

무조건 좌측위(Lateral)로 눕혀줘야 해.

  • 구토 시 기도 흡인 방지
  • 구토봉지 바로 준비
  • 침대 머리 약간 올리기 → 뇌압 상승 방지

❗절대 바로 눕히지 말기 (흡인 위험!)


2️⃣ 기도 유지 & 산소 공급

오심·구토 + 마취 잔여 효과 →
기도폐쇄, 저산소증이 바로 연결됨.

  • SpO₂ 체크 → 필요 시 2~5L O₂ via NC
  • suction 준비
  • 흡인 시 바로 제거 가능하게 standby!

3️⃣ 항구토제 투여 – 무조건 아껴 쓰지 마

오심·구토는 환자의 회복을 심각하게 방해해.

💊 자주 쓰는 항구토제 종류:

약물용량특징
Ondansetron (조프란) 4mg IV 가장 많이 씀. 5HT3 억제제
Metoclopramide (프리파민) 10mg IV 위장운동 촉진
Dexamethasone 4mg IV 예방용으로 수술 전 사용도 많음

💡 PACU에선 보통 PRN 처방 or Standing order 있음
→ 빠르게 판단해서 투여 가능


4️⃣ 증상 지속 시 보고 – "그냥 좀 울렁거려요"도 기록해

오심은 시간이 지나도 가라앉지 않으면

  • 탈수
  • 전해질 불균형
  • Aspiration pneumonia
    → 연결될 수 있음

환자가 불편함을 계속 표현하면
"조금만 참으세요"보다
“증상 반복되네요, 약 조정 요청드릴게요”가 정확한 간호야.


5️⃣ 감정적 케어도 중요!

오심은 육체적 불편보다 심리적으로 굉장히 힘든 증상이야.

  • “지금 토할 것 같으세요? 제가 도와드릴게요.”
  • “약 바로 준비해드릴게요. 괜찮아지실 거예요.”
  • “입술이라도 닦아드릴게요, 물은 아직 참아주세요.”

👉 짧은 한마디가 환자의 불안과 스트레스를 확 낮춰줘.


📝 실무 간호기록 예시


✅ 추가로 해두면 좋은 일

  • 침대 시트, 가운 여분 교체 준비
  • 보호자에겐 "수술 후 흔한 증상"이라고 부드럽게 설명
  • 입 닦아주기, 얼음수건 제공 (금식 유지 시 조심)
  • PRN 약 처방 유무 미리 확인해놓기

💬 마무리 – ‘오심’은 작아 보여도 절대 무시하면 안 돼

회복실에서 환자가 제일 먼저 느끼는 불쾌감이 오심이야.
가볍게 여기면 금방 흡인성 폐렴이나 심한 탈수로도 이어질 수 있어.

환자가 "구역질 나요" 했을 때
👉 말없이 토할 봉지 내밀고, 조용히 산소 줄 세팅하고,
차분하게 항구토제 준비하는 간호사가 진짜 프로야.

오늘 이 내용, 너의 간호에 든든한 근거가 되길 바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