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A 간호 완전 정리 – 통증 사정부터 간호 기록까지, 신규 간호사용 실무 가이드

2025. 4. 14. 12:18밍느의건강

반응형

 

“PCA 맞는 환자인데 왜 자꾸 통증 호소하실까…?”
병동에서 일하다 보면 자주 듣는 말이야.
분명 자가통증조절장치(PCA)가 연결되어 있는데,
환자는 여전히 아프다고 하고,
간호사는 기기 확인도 해야 하고, 통증 사정도 해야 하고…

처음엔 어렵지만, 원리를 알고 보면 꽤 단순해.
이번 포스팅에서는 신규 간호사도 바로 이해할 수 있도록
PCA란 무엇인지부터, 설정 확인, 통증 사정, 간호기록까지
실무에 꼭 필요한 것만 콕콕 짚어줄게!


🩹 PCA란 무엇인가요?

**PCA(Patient Controlled Analgesia)**란
환자가 통증을 느낄 때 스스로 버튼을 눌러 진통제를 투여받을 수 있는 장치야.
보통 정맥 PCA가 많고, 척수강에 직접 넣는 경막외(Epidural) PCA도 있어.

💡 포인트는 “정해진 용량과 횟수만큼만, 일정 시간 간격으로 투여 가능하다는 것!”
환자가 계속 누른다고 해서 약물이 무제한 투여되지는 않아.


💉 PCA 구성 용어부터 이해하자!

용어뜻
Basal Rate 지속적으로 들어가는 기본 주입 속도 (예: 1 mL/hr)
Bolus Dose 환자가 버튼 누를 때마다 주입되는 추가 용량
Lock-out Time 버튼 누른 후 다음 투여까지 기다려야 하는 시간 (보통 5~15분)
Max Limit 일정 시간(예: 1시간) 내 최대 투여 가능량 제한

📌 설정은 보통 의사가 오더 내리지만,
간호사는 정확히 세팅돼 있는지, 버튼이 작동하는지 항상 체크해야 해.


📋 PCA 적용 전 확인사항

  1. PCA 처방 확인 – Basal, Bolus, Lock-out 등 정확히 기입됐는지
  2. 약물 종류 확인 – 펜타닐, 모르핀, 하이드로몰폰 등
  3. IV 라인 확인 – PCA 전용 라인으로 연결, 혼합 금지
  4. 기기 작동 확인 – 전원, 라인 클램프, 버튼 반응 등 체크
  5. 환자 교육 필수!
    • "버튼은 본인만 누르셔야 해요"
    •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5~10분 소요됨 설명
    • "통증 생기기 전에 미리 누르시는 게 좋아요"

😷 PCA 적용 중 통증 사정 포인트

✅ 통증 사정 도구

  • NRS (Numeric Rating Scale): 0~10점
  • FLACC (비언어적 환자): 얼굴 표정, 울음 등 관찰
  • PAINAD (치매 환자 대상)

✅ 통증 사정 타이밍

시점해야 하는 일
PCA 시작 전 기저 통증 사정 기록
버튼 누른 직후 5~10분 후 통증 점수 비교
매 2~4시간마다 정기적 사정 + 효과 모니터링
환자 호소 시 즉시 확인, 기기 오작동 여부도 체크

💡 통증 점수가 줄어들지 않거나,
**환자가 계속 “버튼 눌렀는데 소용없어요”**라고 하면
기기 작동 이상 or 용량 부족 or 진통제 내성 의심!


🧠 간호사가 꼭 체크해야 할 PCA 모니터링 포인트

항목관찰 내용
의식 수준 졸림, 혼돈 여부 (과용 시 발생)
호흡 상태 저호흡(≤8회/분), 무호흡 여부
SpO₂ 저산소증 예방 위해 지속 관찰
혈압/맥박 저혈압, 서맥 등 이상 여부
PCA 버튼 반응 눌렀을 때 소리/불빛 반응 있는지
약물 라벨 약 종류, 용량, 혼합 비율 확인

호흡 억제는 PCA 부작용 중 가장 위험
→ SpO₂ 90% 이하 or RR 8회 미만이면 의사 즉시 보고!


🧾 간호기록 예시 (PCA 관련)

  • "PCA Basal 1mL/hr, Bolus 0.5mL, Lock-out 10분 설정됨.
    환자 자가 통증 조절 교육 시행하였으며, NRS 6점 → 3점으로 감소 확인됨."
  • "PCA 작동 확인 완료. 버튼 정상 작동하며, 라인 누출 없음."
  • "통증 호소 시 버튼 누르도록 설명함. 교육 이해함 확인."
  • "PCA 사용 중 호흡수 10회/분, SpO₂ 96%. 의식 명료. NRS 2점."

💡 꼭 기록해야 하는 포인트
✔️ 통증 사정 점수
✔️ 기기 설정 확인
✔️ 교육 여부
✔️ 부작용 유무
✔️ 버튼 반응 (사용 여부)


⚠️ 부작용 & 간호중재

부작용간호 중재
오심/구토 필요 시 항구토제 투약, 식이 조절
졸림 진통제 과량 가능성 → 감량 협의
호흡억제 즉시 PCA 정지, 산소 공급, 의사 보고
요정체 소변량 확인, 필요 시 방광 스캔
저혈압 vital 체크 + 수액 조절 필요 시 협의

🤔 신규 간호사가 가장 많이 실수하는 포인트

  1. 버튼 작동 여부 확인 안 함 → 연결돼 있지만 버튼 불량인 경우 많음
  2. PCA 라인에 다른 약 주입 → PCA 라인은 단독 유지!
  3. 교육 생략 → 환자가 누를 타이밍을 몰라서 효과 없다고 착각함
  4. 통증 사정 누락 → PCA는 ‘맞고 있으니 괜찮겠지’ 절대 금물

💬 마무리 – PCA는 기계보다 ‘간호사의 눈’이 더 중요하다

PCA는 환자 통증을 줄여주는 좋은 도구지만,
그만큼 간호사의 관찰력과 정확한 기록이 중요해.

“기계가 돌고 있으니까 괜찮다”는 절대 금지!
통증 사정, 버튼 반응, 호흡 상태, 기기 설정
이 네 가지만 잘 챙겨도 PCA는 실수 없이 잘 관리할 수 있어.

처음엔 어렵지만, 두세 번 경험하면 흐름이 보이기 시작할 거야.
오늘 이 포스팅이, 네가 현장에서 PCA 간호를 자신 있게 할 수 있는
첫걸음이 되길 바란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