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가알아야할것(4)
-
24시간 홀터 모니터 검사,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 부착부터 주의사항까지 총정리!
심전도(ECG) 검사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기본적인 검사지만,짧은 시간 동안만 측정하기 때문에 부정맥 같은 이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그래서 일반 심전도로 잡아내지 못하는 부정맥, 심박수 변화 등을 장시간 모니터링하는 방법이 바로24시간 홀터 모니터(Holter Monitoring) 검사다.이 검사는 하루 동안 환자가 일상생활을 하면서 심장 리듬이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특히 간호사는 부착부터 제거, 환자 교육까지 신경 써야 할 부분이 많다.오늘은 홀터 모니터 검사가 왜 필요한지, 부착과 제거 과정, 그리고 환자가 검사 중 주의해야 할 점까지꼼꼼하게 정리해볼 테니, 끝까지 읽어보자!📌 24시간 홀터 모니터(Holter Monitoring)란?✔ 휴대용 심전도(ECG)..
2025.03.17 -
운동 부하 검사(EST) – 간호사가 꼭 알아야 할 모니터링 & 응급 대처법
심장 검사 중에서 운동 부하 검사(Exercise Stress Test, EST)는 꽤 흔하게 시행되는 검사 중 하나다.단순한 심전도 검사로는 드러나지 않는 심장 질환(특히 협심증, 부정맥, 심근 허혈 등)을 발견할 수 있는 중요한 검사라서심장내과, 응급실,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라면 검사 과정과 응급 대처법을 반드시 숙지해야 한다.오늘은 운동 부하 검사가 어떤 검사인지, 어떻게 진행되는지, 간호사가 알아야 할 포인트를 정리해볼까 한다.특히 검사 중 환자가 흉통을 호소하거나, 부정맥이 발생했을 때 즉각적으로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까지 다뤄볼 예정이니 끝까지 읽어보자!💡 운동 부하 검사(Stress Test)란?✔ 러닝머신(트레드밀) 또는 자전거(에르고미터)에서 운동하면서 심장 반응을 평가하는 검사..
2025.03.17 -
심전도 기본 파형 – 간호사가 꼭 알아야 할 5가지
"띠-띠-띠-"병원에서 가장 자주 듣게 되는 소리 중 하나가 바로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phy) 모니터 알람이다.그만큼 심전도 판독은 간호사에게 필수적인 역량 중 하나!심전도는 단순히 심장의 전기적 신호를 기록하는 검사가 아니라,실시간으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응급 상황을 조기에 감지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다.오늘은 심전도의 기본 개념, 주요 이상 소견, 응급 상황에서 간호사가 해야 할 대처법까지한 번에 정리해보겠다.📌 심전도(ECG)란?✔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그래프로 기록하는 검사✔ 부정맥, 심근경색, 전해질 불균형 등 다양한 심장 질환 진단 가능✔ 12유도 심전도(표준) vs. 3·5리드 모니터링 심전도(연속 감시용)로 구분됨📌 심전도 검사 종류?12유도 심전도(12-l..
2025.03.17 -
심장 초음파(Echocardiography) 검사 간호 – TTE vs. TEE 차이점 정리
심장 질환을 진단하는 대표적인 검사 중 하나가 심장 초음파(Echocardiography, 심초음파)다.방사선 노출 없이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비침습적 검사라서심부전, 판막질환, 심근경색, 심장 종양 등 다양한 심장 질환 진단에 활용된다. 그런데 심장 초음파에도 종류가 여러 가지 있는데,그중에서도 경흉부 심초음파(TTE)와 경식도 심초음파(TEE)는 검사 방법과 적용 범위에서 차이가 있다.실무에서 이 두 검사를 접하게 될 때, 어떤 경우에 TTE를 쓰고, 어떤 경우에 TEE를 시행하는지?그리고 간호사는 어떻게 환자를 준비시키고 관리해야 하는지?오늘은 TTE vs. TEE 차이점과 간호사의 역할에 대해 정리해보겠다.📌 심장 초음파(Echocardiography)란?심장 초음파는..
2025.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