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근경색(MI) 환자 간호 – STEMI vs. NSTEMI 차이 & 응급 대처법 총정리!

2025. 3. 19. 12:30밍느의건강

반응형

 

심근경색(Heart Attack, Myocardial Infarction, MI)은

심장 혈관이 갑자기 막혀 심장 근육이 괴사하는 응급 상황이다.
응급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라면

심근경색 환자 대응법(STEMI vs. NSTEMI 차이, 즉각적인 간호, 치료법)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특히 ST 분절 상승 심근경색(STEMI)과 비ST 분절 상승 심근경색(NSTEMI)은
처치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간호사가 빠르게 구분하고 적절한 대응을 해야 한다.

오늘은 심근경색 환자의 증상, 진단 기준, STEMI vs. NSTEMI 차이, 응급 대응법, 간호 중재까지
꼼꼼하게 정리해볼 테니 끝까지 읽어보자!


📌 심근경색(MI)이란?

관상동맥(심장으로 가는 혈관)이 막혀서 심장 근육이 괴사하는 상태
빠른 치료가 없으면 심장 기능 저하 → 심부전, 부정맥, 심정지 위험 증가
환자의 생명을 좌우하는 응급 상황!

📌 발생 원인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 동맥경화) → 혈관 내벽에 쌓인 플라크(기름기)로 혈관이 좁아짐
혈전(Thrombosis) → 좁아진 혈관이 완전히 막혀 혈액 공급 중단
심한 혈관 수축(Spasm) → 관상동맥이 갑자기 수축하면서 혈류 차단

📌 쉽게 말해?
"심장으로 가는 혈관이 완전히 막히거나(급성), 심하게 좁아져(불안정 협심증)
심장 근육이 망가지면서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


🔍 STEMI vs. NSTEMI – 차이점 & 진단 기준

심근경색은 심전도(ECG) 변화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뉜다.

구분STEMI (ST-Elevation MI)NSTEMI (Non-ST-Elevation MI)
심전도 특징 ST 분절 상승(ST Elevation) ST 분절 변화 없음 or ST 하강
혈액검사(Troponin) Troponin 상승 (심장 손상 확실) Troponin 상승 (심장 손상 있음)
관상동맥 폐색 여부 완전 폐색(Complete Occlusion) 부분 폐색(Partial Occlusion)
응급 시술 필요성 🚨 즉각적인 PCI(스텐트 삽입술) 필요 긴급성 ↓, 약물 치료 후 시술 고려

📌 결론:

  • STEMI = "심장 혈관이 완전히 막힘" → 즉시 PCI(스텐트 시술) 필요!
  • NSTEMI = "심장 혈관이 좁아졌지만 완전히 막히진 않음" → 안정 후 치료 가능

🚑 심근경색(MI) 환자 간호 – 응급 대처법!

🛑 1️⃣ 심근경색 환자 응급실 도착 시 – 1차 대응 (초기 간호)

심근경색 환자는 골든 타임(90분 이내)이 생명을 좌우하기 때문에,
간호사는 도착 즉시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고, 필요한 처치를 신속히 시행해야 한다.

📌 응급 대응 프로토콜 (MONA-B 원칙)
M(Morphine) – 모르핀 투여 → 흉통 완화
O(Oxygen) – 산소 투여 → 산소포화도(SpO2) <90%인 경우 제공
N(Nitroglycerin) – 니트로글리세린 투여 → 혈관 확장, 혈압 체크 후 사용
A(Aspirin) – 아스피린 300mg 씹어서 복용 → 혈전 형성 방지
B(Beta-blocker) – 베타차단제 사용 고려 → 심박수 조절

📌 간호사가 즉시 해야 할 일
환자 V/S(혈압, 심박수, 산소포화도) 측정 → 심전도(ECG) 시행
12유도 심전도 촬영 → STEMI vs. NSTEMI 구분
Troponin, CK-MB(심근효소) 혈액검사
정맥로 확보 & 응급 약물 준비

📌 결론:
"심근경색 환자가 오면 즉시 MONA-B 프로토콜 적용 & STEMI/NSTEMI 감별이 핵심!"


🚨 2️⃣ STEMI 환자 간호 – 즉각적인 PCI(스텐트 시술) 준비

STEMI 환자는 무조건 ‘관상동맥 중재술(PCI)’이 최우선!
가능한 한 90분 이내에 스텐트 시술(Primary PCI) 진행해야 생존율 증가

📌 간호사가 준비할 것
관상동맥 조영술(CAG) 및 PCI 시술 동의서 받기
시술 전 금식 상태 유지 & 조영제 부작용 확인
혈전 용해제(TPA) 투여 가능성 확인

📌 PCI 후 간호
출혈 모니터링 (대퇴동맥 삽입 부위 확인)
항응고제(헤파린, 아스피린, 클로피도그렐) 투약 관리
부정맥, 혈압 변화 지속 모니터링

📌 결론:
"STEMI 환자는 PCI 시술이 생명을 살린다!
간호사는 빠르게 준비 & 출혈/합병증 모니터링이 중요!"


⏳ 3️⃣ NSTEMI 환자 간호 – 안정 후 치료 (약물 치료 중심)

NSTEMI 환자는 혈관이 완전히 막힌 것이 아니므로 약물 치료가 우선!
단, 혈압이 떨어지거나, 흉통 지속 시 응급 PCI 고려

📌 NSTEMI 간호 포인트
혈압 & 심전도 지속 모니터링 (ST 변화 감시)
혈전 예방 – 항응고제(헤파린) & 항혈소판제(아스피린, 클로피도그렐) 투약
혈관 확장제(니트로글리세린) 투여 가능

📌 결론:
"NSTEMI는 응급 PCI 필요성 ↓, 약물 치료로 관리 가능
하지만 악화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철저한 모니터링 필수!"


 

📌 최종 정리 – 심근경색 환자 간호 핵심 요약

STEMI vs. NSTEMI 구분 → 심전도(ST 분절 상승 여부) & Troponin 검사 확인
STEMI = 즉각적인 PCI(스텐트 시술) 필요!
NSTEMI = 약물 치료 후 필요 시 시술 고려
초기 대응은 MONA-B 프로토콜 적용 (아스피린, 니트로글리세린, 산소 등)
PCI 후 출혈, 부정맥, 혈압 변화 지속 모니터링 필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