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3. 29. 12:55ㆍ밍느의건강
심부전, 고혈압, 부종 관리에 자주 사용되는 이뇨제(Furosemide, 푸로세미드)!
특히 Loop Diuretics(루프 이뇨제)의 대표적인 약물로, 강력한 이뇨 작용을 통해 체내 과도한 수분과 나트륨을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전해질 불균형 위험이 높아 세심한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하다.
오늘은 Furosemide의 작용 기전, 부작용, 그리고 전해질 관리 방법을 정리해보자! 🚑
📌 Furosemide(푸로세미드)란?
✅ Loop Diuretics(루프 이뇨제)의 대표적인 약물
✅ 신장의 헨레고리 상행각(Loop of Henle)에서 나트륨(Na+), 칼륨(K+), 염소(Cl-) 재흡수 억제
✅ 강력한 이뇨 효과 → 체액량 감소 → 부종 및 혈압 감소
💡 주요 사용 대상
✔ 심부전 환자 – 폐부종, 말초부종 감소
✔ 고혈압 환자 – 혈압 강하 효과
✔ 신장 질환 환자 – 과다한 체액 제거 필요 시
하지만, 전해질과 수분이 과도하게 배출될 경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사용 시 주의해야 한다! ⚠
📌 Furosemide 사용 시 주요 부작용
✅ 1. 저칼륨혈증(Hypokalemia, K+↓)
✔ 칼륨(K+)이 소변으로 과도하게 배출 → 근육 약화 & 부정맥 위험 증가
✔ Digoxin(디곡신) 복용 환자는 저칼륨혈증 시 디곡신 독성 위험 증가
📌 💊 간호 포인트
✔ 혈중 칼륨 수치(K+) 정기적으로 모니터링 (정상: 3.5~5.0 mEq/L)
✔ 바나나, 오렌지, 감자 등 칼륨 함유 식품 섭취 권장
✔ 심한 저칼륨혈증 시 칼륨 보충제(KCl) 투여 고려
✅ 2. 저나트륨혈증(Hyponatremia, Na+↓)
✔ 나트륨(Na+) 배출 증가 → 혼돈(Confusion), 두통(Headache), 경련(Seizure) 위험
✔ 심한 경우 의식 저하 & 저나트륨혈증성 뇌부종 발생 가능
📌 💊 간호 포인트
✔ 혈중 나트륨 수치(Na+) 체크 (정상: 135~145 mEq/L)
✔ 혼돈, 무기력, 경련 발생 시 즉시 보고 & 정맥 내 식염수(NaCl) 투여 고려
✔ 수분 섭취 조절 – 과도한 수분 섭취 금지
✅ 3. 저마그네슘혈증(Hypomagnesemia, Mg2+↓)
✔ 마그네슘(Mg2+) 배출 증가 → 근육 경련, 떨림(Tremor), 부정맥 위험 증가
✔ 심한 경우 심박수 이상(서맥, 빈맥) & 신경 과민반응 발생 가능
📌 💊 간호 포인트
✔ 혈중 마그네슘(Mg2+) 모니터링 (정상: 1.5~2.5 mEq/L)
✔ 마그네슘 보충제 or 마그네슘 포함 식품(견과류, 초콜릿, 시금치) 섭취 권장
✅ 4. 탈수(Dehydration) & 저혈압(Hypotension)
✔ 체액이 과도하게 빠지면서 탈수 & 저혈압 발생 가능
✔ 어지럼증(Dizziness), 피로(Fatigue), 실신(Syncope) 위험
📌 💊 간호 포인트
✔ 입술 & 피부 상태 확인 – 건조증 여부 체크
✔ 탈수 징후(어지럼증, 두통) 발생 시 수액 보충 고려
✔ 기립성 저혈압 예방을 위해 갑자기 일어나는 동작 주의
📌 Furosemide 안전하게 사용하기 – 간호 관리 포인트
1. 투약 전 & 후 확인해야 할 사항
✅ 혈압(BP) 체크 – 저혈압 시 투약 보류
✅ 전해질 수치(Na+, K+, Mg2+) 확인
✅ 체중 모니터링 – 하루 1kg 이상 감소 시 탈수 의심
✅ 소변량(I&O) 체크 – 과도한 배뇨 여부 확인
2. Furosemide 투약 시 주의할 점
💊 아침 or 점심에 투여 (야간 배뇨 증가 방지)
💊 정맥주사(IV) 시 천천히 투여 (빠르게 주입 시 이명 & 청력 손상 가능)
💊 장기 사용 시 신장 기능 모니터링 (신부전 발생 가능성 있음)
3. 환자 교육 – Furosemide 복용 시 주의사항
✅ 아침 or 점심에 복용 – 밤에는 투약 피하기
✅ 칼륨(K+) 보충을 위해 바나나, 감자, 오렌지 섭취 추천
✅ 체중 & 혈압 자가 모니터링 – 하루 1kg 이상 감소 시 병원 방문
✅ 기립성 저혈압 예방을 위해 천천히 움직이기
📌 마무리 – 이뇨제, 전해질 관리가 핵심!
Furosemide는 심부전, 고혈압 환자에게 필수적인 약물이지만, 전해질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어 철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 저칼륨혈증, 저나트륨혈증, 저마그네슘혈증 발생 여부 확인
✔ 탈수 & 저혈압 예방을 위한 체중, 혈압 모니터링 필수
✔ Digoxin 복용 환자는 저칼륨혈증 주의!
💡 "이뇨제 사용 시 전해질 관리, 알고 있으면 안전하게 복용할 수 있다!" 🚑
'밍느의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느 날 갑자기 머리가 빙빙 도는 느낌이 들었다 – 이석증이었을까? (1) | 2025.04.05 |
---|---|
배가 빵빵한 이유가 혹시 카페인 때문? (0) | 2025.04.05 |
강심제(Digoxin) 사용 시 주의해야 할 부작용과 간호 (1) | 2025.03.29 |
심근병증(Cardiomyopathy) 종류별 차이 & 간호 포인트 (0) | 2025.03.29 |
급성 심부전(AHF) vs. 만성 심부전(CHF) – 차이점과 간호 포인트 (0)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