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3. 29. 12:51ㆍ밍느의건강

심부전이나 부정맥 치료에 자주 사용되는 강심제(Digoxin, 디곡신)은 심장의 수축력을 높여 혈액을 더 효율적으로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혈중 농도가 너무 높아지면 독성이 발생할 수 있어 세심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오늘은 Digoxin의 작용 기전, 부작용, 그리고 간호 포인트를 정리해보려고 한다.
📌 Digoxin(디곡신)이란?
✅ 강심배당체(Cardiac Glycosides)의 대표적인 약물
✅ 심장의 수축력을 증가시켜 심박출량(심장에서 뿜어내는 혈액량)을 늘리는 효과
✅ 심박수를 조절하여 심방세동(AF)과 같은 부정맥 치료에도 사용
💡 Digoxin의 주요 작용 기전
✔ Na+/K+-ATPase 억제 → 세포 내 칼슘 농도 증가 → 심근 수축력 증가
✔ 미주신경(Vagus nerve) 활성화 → 심박수 감소(서맥 효과)
이러한 작용 덕분에 심부전(특히 좌심부전)과 심방세동 환자에게 많이 처방된다. 하지만 약물 농도가 높아지면 독성이 나타날 수 있어, 혈중 농도 모니터링이 필수!
📌 Digoxin의 주요 부작용 – 디곡신 중독(Digoxin Toxicity)
💡 Digoxin의 치료 농도는 0.5~2.0 ng/mL
⚠ 혈중 농도가 2.0 ng/mL 이상이면 독성이 나타날 수 있음!
✅ Digoxin 중독 증상 3가지
1. 심혈관계 부작용 (서맥 & 부정맥)
✔ 서맥(Bradycardia) → 심박수가 60회 미만이면 주의
✔ 심실성 부정맥(Ventricular Arrhythmia) → 심정지 위험
✔ 심전도(ECG)에서 PR 간격 연장, ST 분절 저하(Scooping ST) 발생
📌 💊 간호 포인트
✔ 투약 전 심박수 체크 → 60회 미만이면 의사에게 보고 후 투약 보류
✔ 심전도(ECG) 모니터링 → PR 연장, 부정맥 발생 여부 확인
✔ 심각한 부정맥 발생 시 Digoxin 중단 & 항부정맥제 투여 고려
2. 소화기계 부작용 (구토 & 식욕부진)
✔ 오심(Nausea), 구토(Vomiting), 설사(Diarrhea)
✔ 식욕 감소, 체중 감소 → 영양 불균형 가능
📌 💊 간호 포인트
✔ 소화기 증상 발생 시 혈중 Digoxin 농도 체크
✔ 환자가 식사를 거부하는 경우 영양 보충 고려
✔ 위장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식사 후 투약 가능 (의사 지시에 따라 조정)
3. 신경계 부작용 (시야 변화 & 어지럼증)
✔ 황록색 시야 변형(Yellow-green vision) & 빛 번짐(Halos around lights)
✔ 어지럼증(Dizziness), 혼돈(Confusion), 두통(Headache)
📌 💊 간호 포인트
✔ 황록색 시야 변화는 Digoxin 독성의 대표적 신호 → 즉시 보고
✔ 고령 환자는 신경계 부작용 발생 위험이 높아 세심한 관찰 필요
✔ 어지럼증이 있는 경우 침상 안정 & 낙상 예방 조치 시행
📌 Digoxin 안전하게 사용하기 – 간호 관리 포인트
1. 투약 전 확인해야 할 사항
✅ 심박수(60회 미만 시 투약 보류 & 보고)
✅ 혈중 Digoxin 농도 (2.0 ng/mL 이상 시 독성 위험)
✅ 칼륨(K+) 수치 (저칼륨혈증 시 독성 위험 증가)
✔ Digoxin의 독성은 저칼륨혈증(Hypokalemia)과 연관
✔ 이뇨제(Furosemide, Hydrochlorothiazide) 복용 환자는 칼륨 보충 필요!
✔ 정상 칼륨 수치(3.5~5.0 mEq/L) 유지 필수
2. Digoxin 중독 시 응급처치 – 디곡신 해독제(Digibind, Digifab) 투여
💊 Digoxin 중독(Digoxin Toxicity)이 심한 경우 해독제(Digibind, Digifab) 사용
✔ 서맥 발생 시 Atropine 투여 가능
✔ 부정맥 발생 시 항부정맥제(Lidocaine 등) 고려
⚠ Digoxin 해독제(Digibind, Digifab)는 고가의 약물로, 심한 독성 증상(심실빈맥, 심정지)이 있을 때만 사용
3. 환자 교육 – Digoxin 복용 시 주의사항
✅ 약물 복용 시간 지키기 → 매일 같은 시간에 복용
✅ 자주 심박수 체크(자택에서 맥박 측정 가능하도록 교육)
✅ 구토·황록색 시야 변형·심한 피로감 발생 시 즉시 병원 방문
✅ 이뇨제(칼륨 배출) 복용 시 바나나, 감자 등 칼륨 섭취 권장
✅ 다른 약물(특히 항부정맥제, 칼슘제)과 상호작용 가능성 확인
📌 마무리 – Digoxin, 심부전 치료의 핵심이지만 독성 위험 관리가 중요!
Digoxin은 심장 기능을 개선하는 강력한 약물이지만, 독성 위험이 있어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수적이다.
✔ 투약 전 심박수 체크(60회 미만 시 복용 금지)
✔ 혈중 농도 & 칼륨 수치 모니터링 필수
✔ 구토, 황록색 시야 변형, 서맥 등 독성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진 보고
💡 "심부전 환자에게 필수적인 강심제, 안전하게 복용하는 방법을 꼭 숙지하자!"
'밍느의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가 빵빵한 이유가 혹시 카페인 때문? (0) | 2025.04.05 |
---|---|
이뇨제(Furosemide) 사용 시 전해질 불균형 관리 – 부작용 & 간호 (0) | 2025.03.29 |
심근병증(Cardiomyopathy) 종류별 차이 & 간호 포인트 (0) | 2025.03.29 |
급성 심부전(AHF) vs. 만성 심부전(CHF) – 차이점과 간호 포인트 (0) | 2025.03.28 |
심장 시술 후 꼭 알아야 할 심장재활 간호 – 회복을 돕는 핵심 포인트 (0) | 2025.03.28 |